전체 글(33)
-
NginX와 Gunicorn
이전에 작성한 포스트인 웹 서버와 WAS에서 웹 서버와 WAS의 특징 및 차이에 대해 포스팅을 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ginX와 Gunicorn이 어떤 것이고 어떻게 쓰는지, 왜 쓰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NginX란 NginX는 Web Server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웹 서버로 아파치가 있다. 아파치 서버는 1995년 이후 압도적으로 1위를 달리고 있었지만 최근에 NginX에게 밀리고 있다. 아파치 vs NginX 비교 아파치(Apache) MPM(Multi Process Modules) 방식으로 요청을 처리한다. Prefork 방식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요청을 처리한다. 하나의 자식 프로세스당 하나의 스레드를 갖는다.(최대 1024개) 스레드 간 메모리 공유를..
2022.01.03 -
웹 서버와 WAS
웹 서버란?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웹 사이트에 어떤 요청을 보내면 그에 적절한 응답을 해주는 존재이다.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컴퓨터일 수도 있다. NginX, Apache는 대표적인 웹 서버(Web Server) 소프트웨어이다. 특징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 부터 HTTP 프로토콜로 요청을 받으면 그에 맞는 HTML 문서 등과 같은 정적 파일을 응답해 준다. 정적 파일이란 말 그대로 멈춰있는 파일(html, css, js) 즉, 변하지 않는 파일 그 자체이다. Ex) 로그인 하기 전의 쿠팡 웹 사이트(어떤 유저가 쿠팡 웹 사이트를 요청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쿠팡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HTML, CSS, Javascript 등의 파일이 제공) 반대로 동적 파일은 게시판처..
2022.01.02 -
후기 | 취업 후기
백엔드를 선택한 이유 길고 긴 시간동안 개발 공부만 해왔다. 여러 분야에 대해 찍먹해 보기도 하고 한가지만 몰두해서 파기도 했다. 그렇지만 어느 한 분야를 고르지 못했다. 왜냐? 게임 개발, 인공지능, 백엔드, 3D 등 모든 분야가 다 재미있고 다 해보고 싶었다. 그렇지만 난 결국 백엔드를 선택했다. 아무리 예쁜 웹사이트를 만들고 보안이 우수하다한들,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고 매번 사이트를 들어올 때마다 회원가입을 하고 이전에 썼던 글을 또 써야한다. 백엔드가 구축되어 있으면 데이터 관리도 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높여줄 수 있다. 화면 뒤에서 남들 모르게 도와주는 백엔드, 얼마나 매력적인가...그래서 백엔드를 선택했다. 부트캠프를 다니며 백엔드를 섭렵하였다. 백엔드로 진로를 결..
2022.01.01